제15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5기갑사단은 1940년 독일 국방군에 재편성된 기갑사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독일 아프리카 군단(DAK)에 배속되어 활약했다. 1941년 리비아로 파견되어 엘 알라메인 전투, 토브룩 공방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며, 1943년 튀니지에서 연합군에 항복했다. 주요 지휘관으로는 프리드리히 퀸, 에르빈 메니 등이 있었으며, 주요 참전 전투로는 배틀액스 작전, 크루세이더 작전, 가잘라 전투, 알람 엘 할파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 - 제3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제3기갑사단은 1935년 창설된 독일 국방군 최초의 기갑사단 중 하나로, 폴란드, 프랑스 침공에서 큰 전과를 올렸지만 동부 전선에서 격렬한 전투를 치르며 막대한 손실을 입고 주요 전투에 참여 후 1945년 미군에 항복한, 제2차 세계 대전의 격변과 기갑전의 중요성, 장기전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 - 기갑교도사단
기갑교도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정예 기갑사단으로, 주요 기갑학교 출신 병력과 최신예 전차 및 장비를 갖추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나 연합군에 패배하여 해체되었다. - 1940년 설립 -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 이후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설 부족, 안전 및 소음 문제로 인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 1940년 설립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40년 소련에 강제 병합되어 소련의 지배를 받다가 1991년 독립을 재선언할 때까지 공산화, 농업 집단화, 문화적 탄압, 강제 이주, 무장 저항 등 고난을 겪었으며,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시민 저항 운동을 통해 독립을 이루었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제15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 |
---|---|
개요 | |
![]() | |
이름 | 제15기갑사단 |
원어 이름 | 15. Panzer-Division |
활동 기간 | 1940년 ~ 1943년 |
국가 | 나치 독일 |
소속 | 독일 육군 |
병과 | 기갑 |
종류 | 사단 |
역할 | 기갑 |
규모 | 사단급 |
명령 체계 | 아프리카 군단(북아프리카 전역 당시) |
별명 | 없음 |
표어 | 없음 |
색 | 없음 |
군가 | 없음 |
마스코트 | 없음 |
장비 | 없음 |
참전 | |
전투/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북아프리카 전역 |
주요 지휘관 | |
지휘관 | 없음 |
2. 부대 역사
제15기갑사단은 1933년 제33보병사단으로 창설되어 1939년에 자동차화 부대로 바뀌었다. 1940년 벨기에 및 프랑스 침공에 참가하였고, 같은 해 8월 제10기갑사단 소속 8전차연대를 흡수하여 '''제15기갑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제110보병연대가 제112보병사단으로 보내졌다.
1941년 4월, 제15기갑사단은 리비아로 보내져 에르빈 롬멜 장군의 독일 아프리카 군단(DAK)에 합류하여 1943년 5월까지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주요 전투들에 참전했다.
1943년 7월, 유럽에 있던 사단 생존자들을 중심으로 제15기갑척탄병사단이 창설되었으나, 완전한 기계화 부대로 확장되지는 못했다. 제15기갑척탄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 서부 전선에서 전투를 치렀으며, 종전 무렵에는 영국군에게 항복했다.
2. 1. 창설과 서부 전역 (1933년 ~ 1941년)
1933년에 '''제33보병사단'''으로 창설되어 1939년에 자동차화 부대로 바뀌었다. 그러나 폴란드 침공 시에는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했다. 1940년에는 벨기에 및 프랑스 침공에 참가했다. 이후 1940년 8월에 다름슈타트와 란다우에서 제10기갑사단 소속 8 전차연대를 흡수하여 '''제15기갑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제110보병연대가 제112보병사단으로 보내졌다.2. 2. 북아프리카 전역 (1941년 ~ 1943년)
1941년 4월, 제15기갑사단은 리비아로 보내져 에르빈 롬멜 장군의 독일 아프리카 군단(DAK)에 합류했다. 이때 제5경기갑사단(나중에 제21기갑사단으로 재편)도 함께 파견되었고, 가을에는 제90경보병사단이 추가 편성되었다.1941년 6월 15일 배틀액스 작전에서, 사단은 바르디아 남쪽에 예비대로 배치되었고, 전차연대는 할파야 고개에서 영국군의 공세를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1941년 11월 18일 시작된 크루세이더 작전에서, 제15기갑사단은 토브룩 동쪽에 주둔하며 11월 20일 제21기갑사단과 함께 영국 30 군단의 기갑부대와 격전을 벌였다. 롬멜은 기갑사단들을 동쪽으로 급파하여 영국군을 위협했지만, 영국군은 11월 27일 토브룩 요새와 연결되었고, 추축군은 후퇴해야 했다.
1941년 12월 31일, 롬멜의 부대는 엘 아게일라에서 전열을 정비하고, 1942년 1월 21일 다시 진격을 시작했다. 영국 8군은 토브룩 서쪽 가잘라의 요새화된 진지로 후퇴했고, 제15기갑사단은 남익에 배치되었다.
1942년 5월 26일, 추축군은 가잘라 전투를 개시, DAK는 영국군 방어선 남쪽을 돌파하며 전차전에 큰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보급 문제로 "가마솥 지대"(가잘라 남쪽 사막)로 후퇴했다가, 6월 11일 다시 공세를 재개하여 6월 20일 토브룩을 함락시켰다.
추축군은 동쪽으로 쾌속 진격, 1942년 6월 26일 메사 마트루 전투에서 영국 제30군단의 기갑전력 대부분을 파괴했다. 제15기갑사단은 영국 제1기갑사단에 저지되었으나, 다른 DAK 부대들이 북쪽으로 돌파에 성공했다.
1942년 7월 초, 영국 8군은 엘 알라메인의 마지막 방어선에 도착했다. 롬멜은 루웨이사트 능선을 따라 공격을 시도했으나, 제15기갑사단을 포함한 공격은 영국군의 반격으로 실패, 7월 22일 중지되었다. 1942년 8월 30일 알람 엘 할파 전투에서 롬멜은 다시 영국군 남쪽 방어선을 공격했으나, 9월 1일 제15기갑사단은 알람 할파 능선까지 진격했지만 돌파에 실패, 방어 태세로 전환했다. 제15기갑사단은 전선 북쪽에 예비로 배치되었다.
1942년 10월, 버나드 몽고메리 대장이 제8군 사령관에 취임하여 전력을 재정비했다. 10월 23일 시작된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제15기갑사단의 반격은 실패했고, 11월 4일 영국 전차부대가 돌파구를 열었다.
1942년 11월 8일, 횃불 작전으로 미-영 연합군이 프랑스령 북아프리카에 상륙하자, 제15기갑사단과 추축군은 계속 후퇴했다. 영국군은 1943년 1월 23일 트리폴리를 점령했다.
1943년 2월 18일, 제15기갑사단 제8기갑연대 제1대대는 Stotten 전투단을 창설, DAK 전투단에 배속되어 카세린 협곡 전투에서 미군에 승리했다.
1943년 3월 6일 메드닌 전투, 3월 20일 마레스선 전투에 참전했다. 제50보병사단 (영국)이 방어선을 돌파했으나 제15기갑사단에 저지되었고, 3월 27일 추축군은 북쪽으로 철수했다. 이후 와디아카리트 전투등에서 분전하였다.
북아프리카의 추축군은 튀니지 북부로 후퇴했다. 히틀러는 뒤늦게 병력 지원을 결정했지만, 미 제2군단과 영국 1, 8군은 계속 진격했다. 1943년 5월 12일, 튀니지의 모든 독일군 및 이탈리아군은 항복했고, 제15기갑사단도 포함되었다.
2. 3. 재편성과 서부 전선 (1943년 ~ 1945년)
1943년 7월, 유럽에 있던 제15기갑사단 생존자들을 중심으로 제15기갑척탄병사단이 창설되었으나, 완전한 기계화 부대로 확장되지는 못했다. 제15기갑척탄병사단은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 서부 전선에서 전투를 치렀으며, 종전 무렵 영국군에게 항복했다.3. 주요 참전 전투
제15기갑사단은 다음과 같은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
4. 역대 지휘관
취임일자 | 지휘관 |
---|---|
1940년 12월 1일 | 프리드리히 퀸 대장 |
1941년 3월 22일 | 하인리히 폰 프리트비츠 우트 가프론 소장 |
1941년 4월 13일 | 한스-카를 프라이헤어 폰 에제벡 대장 |
1941년 5월 26일 | 발터 노이만-질코브 소장 |
1941년 12월 6일 | 에르빈 메니 소장 |
1941년 12월 9일 | 구스타프 폰 베르스트 대장 |
1942년 5월 26일 | 에두아르트 크라제만 소장 |
1942년 7월 15일 | 하인츠 폰 란도브 소장 |
1942년 8월 25일 | 구스타프 폰 베르스트 대장 |
1942년 12월 1일 | 빌리발트 보로비츠 소장 |
5. 부대 편제 (1942년)
- 제8기갑연대
- 제104기갑척탄병연대
- 제115기갑척탄병연대
- 제33포병연대 (후에 제33기갑포병연대)
- 제15오토바이대대
- 제33수색대대
- 제33대전차대대
- 제33공병대대
- 제78통신대대
- 제33야전보충대대
- 제33보급부대 (후에 제33기갑보급부대)
6. 시기별 배치 현황
제15기갑사단 (독일 국방군)의 시기별 배치 현황에 대한 내용은 현재 비어 있으며, 내용 추가가 필요하다.
7. 기사십자장 수훈자
제15기갑사단은 1940년 7월 13일 빌리 키레너를 시작으로 1945년 5월 5일 에른스트 바이셀까지 많은 기사십자장 수훈자를 배출했다.
연도 | 날짜 | 이름 |
---|---|---|
1940년 | 7월 13일 | 빌리 키레너 |
1941년 | 6월 1일 | 구스타프 게오르그 크나베 |
6월 13일 | 막시밀리안 헤르프 | |
6월 27일 | 한스 크라머 | |
6월 30일 | 에버하르트 잔 | |
7월 9일 | 빌헬름 바흐, 하네스 퀴멜 | |
7월 27일 | 쿠르트 에흘레 | |
12월 26일 | 에두아르드 크라제만, 에르빈 메니 | |
12월 31일 | 귄터 펜스키 | |
1942년 | 1월 6일 | 볼프강 바흘 |
1월 21일 | 루돌프 쉬트르크만 | |
6월 27일 | 에른스트 귄터 바아데 | |
7월 12일 | 빌리 로보흘, 오토 쉬타펠마이어 | |
7월 28일 | 베르너 라이스만 | |
7월 29일 | 귄터 할름 | |
8월 18일 | 헤르베르트 에베르트 | |
11월 20일 | 하인리히 하웁트만 | |
1943년 | 4월 20일 | 막스 카일 |
1944년 | 10월 4일 | 발터 위네만 |
11월 16일 | 헬무트 클로제 | |
12월 11일 | 아담 디로프 | |
12월 18일 | 카를 빈터호프 | |
12월 31일 | 하인츠 위겐 샤우베커 | |
1945년 | 2월 18일 | 볼프강 마우케 |
4월 14일 | 하인리히 본 | |
4월 30일 | 레온하르트 비쇼프 | |
5월 5일 | 에른스트 바이셀 |
7. 1. 제33보병사단
7. 2. 15 기갑사단
연도 | 날짜 | 이름 |
---|---|---|
1940년 | 7월 13일 | 빌리 키레너 |
1941년 | 6월 1일 | 구스타프 게오르그 크나베 |
6월 13일 | 막시밀리안 헤르프 | |
6월 27일 | 한스 크라머 | |
6월 30일 | 에버하르트 잔 | |
7월 9일 | 빌헬름 바흐, 하네스 퀴멜 | |
7월 27일 | 쿠르트 에흘레 | |
12월 26일 | 에두아르드 크라제만, 에르빈 메니 | |
12월 31일 | 귄터 펜스키 | |
1942년 | 1월 6일 | 볼프강 바흘 |
1월 21일 | 루돌프 쉬트르크만 | |
6월 27일 | 에른스트 귄터 바아데 | |
7월 12일 | 빌리 로보흘, 오토 쉬타펠마이어 | |
7월 28일 | 베르너 라이스만 | |
7월 29일 | 귄터 할름 | |
8월 18일 | 헤르베르트 에베르트 | |
11월 20일 | 하인리히 하웁트만 | |
1943년 | 4월 20일 | 막스 카일 |
1944년 | 10월 4일 | 발터 위네만 |
11월 16일 | 헬무트 클로제 | |
12월 11일 | 아담 디로프 | |
12월 18일 | 카를 빈터호프 | |
12월 31일 | 하인츠 위겐 샤우베커 | |
1945년 | 2월 18일 | 볼프강 마우케 |
4월 14일 | 하인리히 본 | |
4월 30일 | 레온하르트 비쇼프 | |
5월 5일 | 에른스트 바이셀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